목록산업용로봇 (71)
여기에 기계
Q. (주)오토로보틱스(이하 오토로보틱스)가 다관절로봇을 개발하게 된 계기는. A. 대구 지역 10대 중견기업에서 자동차 부품을 연구·개발하는 업무를 시작하면서 생산 공정에 적용되어 있는 제조용 로봇을 처음 접했다. 제조용 로봇은 항상 배워보고 싶었던 분야였는데, 로봇 시스템 인티그레이션(Robot System Integration, 이하 SI) 업무를 전개할 기회가 생겨 본격적으로 로봇의 적용/운영/설비구축에 대한 연구·개발을 진행했고,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다관절로봇을 개발할 수 있는 기회를 맞이했다. 다관절로봇은 4차 산업혁명에 참여할 수 있는 요소로서, 로봇 SI를 주도하려면 다양한 방법과 솔루션의 다관절로봇을 제공할 수 있는 설계/개발/제조 능력이 필수 구성이다. 이를 위해 당사는 다관절로봇을..
하이젠모션앤로보틱스, 다관절로봇 사업 진출 하이젠모터가 로봇사업을 준비한 지 어느 덧 3년이다. 이번 2018 로보월드에서 이 회사는 하이젠모션앤로보틱스(HIGEN MOTION & ROBOTICS, 이하 하이젠)라는 브랜드로 참가하면서 부품 기업을 완전히 탈피했음을 알렸다. 이번 전시회에서 하이젠의 이슈는 수직다관절로봇으로의 라인업 확장과 SI사업 전개이다. 앞서 하이젠은 델타로봇을 주력으로 비즈니스를 전개했는데, 단기간에 17종의 수직다관절로봇 라인업을 구축하면서 저력을 과시했다. 하이젠 황민구 차장은 “다관절로봇 사업이 본격화된 것은 올해부터이다. 로봇 제조에 있어 가장 어려운 관절 모듈에 대한 원천 기술을 보유하고 있었기에 신속한 라인업 확장이 가능했고, 표준 라인업 외 주문제작형 제품에 대한 대응..
스토브리가 지난 6월 19일(화)부터 22일(금)까지 독일 뮌헨에서 개최된 ‘2018 오토매티카(Automatica 2018)’에서 세계 최초로 새로운 스카라 로봇 TS2 시리즈를 공개했습니다. 스토브리의 특허기술인 JCS드라이브를 적용, 완전히 새롭게 설계된 이 스카라 로봇은 매우 짧은 사이클 타임을 제공하며 혁신적인 위생 설계로 민감한 환경에서의 활용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였습니다. 스토브리 로봇사업부의 Gerald Vogt 본부장은 TS2 시리즈와 기존 스카라 로봇 TS 시리즈의 공통점에 대한 질문에 “아무것도 없다”는 말로 완벽한 차별화를 실현했음을 알렸습니다. 그는 “스토브리 다관절 로봇에 적용돼 제조용 로봇의 새로운 기준을 세운 JCS드라이브를 모듈형으로 설계해 TS2 시리즈에 적용했으며, ..
Q. 공작기계 관련 로봇 애플리케이션에 강한 경쟁력을 가지고 있다. 주요 레퍼런스에 대해 소개하자면. A. 페이로드 20㎏의 소형로봇 M-20iA를 이용해 공작기계의 로딩/언로딩 작업을 수행한 사례들은 다수 있다. 뿐만 아니라 공정 레이아웃에 따라 페이로드 12㎏급의 M-10i/12, 35㎏급의 M-20iA/35M, 50㎏급의 M-710iC/50, 165㎏급의 R-2000iC/165F, 210㎏급의 R-2000iC/210F 등의 로봇이 적용된 사례까지, 풍부한 레퍼런스를 보유하고 있다. Q. 어떠한 기술들이 적용됐나. A. 공작기계의 워크피스를 로딩/언로딩할 때 로봇을 소프트하게 제어하는 기능인 Soft Float 기능과 화낙(FANUC) NC를 사용한 공작기계에 내장된 PMC와 동일한 라다 프로그램을 ..
덴소(DENSO) 로봇의 키워드 '고속, 고정밀도, 고기능에 개방성까지! 많은 제조사들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플랫폼들이 집약되어가고 있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덴소의 로봇은 해를 거듭할수록 강력한 경쟁력을 자랑할 것으로 기대된다. 덴소의 로봇 솔루션들을 국내에 공급하고 있는 덴소인터내셔널코리아(주)(이하 덴소코리아)의 정만식 과장은 “퀄리티 높은 로봇 하드웨어, 오픈소스의 확장성, 다양한 자동화 플랫폼을 마치 레고처럼 연결할 수 있는 미들웨어플랫폼 ORiN2(Open Resource Interface for the Network Vision2) 등은 현재 유저가 요구하는 스마트팩토리에 최적화된 솔루션들이다”라고 소개했다. 한편 덴소는 최근 새로운 타입의 스카라 로봇인 ‘HSR’ 모델 출시와 더불어..
?한국로봇산업진흥원이 우리 중소 제조 기업의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두 팔 걷고 나섰다. 진흥원은 로봇활용 중소제조 공정혁신의 일환으로 지난 5월 6일까지 로봇활용 중소제조 공정혁신 지원사업 공모를 실시, 총 42개 과제를 접수했으며, 그중에서 올해 지원대상인 13개 과제를 최종 확정, 발표했다. 이에 본지에서는 본 사업의 개요와 올해 선정된 대표 사례들을 소개한다. 시장창출형 로봇보급사업 수행기업 로봇도입 사진 1. 중소제조업의 혁신을 이끄는 ‘로봇’ 많은 나라들이 로봇산업 육성을 제조업 분야의 새로운 시장 창출과 국가 경쟁력으로 인식하며 적극적인 육성의지를 보이고 있다.우리 정부 역시 제조업 혁신 3.0 전략의 일환으로 우리 경제의 근간이 되는 중소제조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스마트 공장 보급(S/..
제품코드G072954판매 회사명제이에스 오토메이션연락처031-234-9485홈페이지-제품홍보관http://blog.yeogie.com/jseautomation CC-LINK AJ65SBTB1-16D1미쓰비시 PLC※ 출처 : 여기에 기계플라자 - [G072954] 미쓰비시 PL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