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산업뉴스/산업일반 (363)
여기에 기계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GGjRN/btqCNHbjMTO/nDMO3KKUVDKdrWSCXpb0Sk/img.jpg)
동력전달장치 전문 기업 (주)국제산업기계가 4차 산업혁명과 함께 성장하는 로봇 시장을 겨냥해 고정밀 감속기 사업에 힘을 싣는다. 니덱심포의 국내 파트너사인 (주)국제산업기계는 우수한 가격 경쟁력과 신속한 납기, 아울러 적극적인 특수주문품 설계 대응으로 국내 사용자들에게 어필하고 있다. 동력전달장치는 기계 장비 및 자동화 시스템의 핵심 요소 부품 중 하나로, 모터로 구동되는 대부분의 기계 장비 및 시스템에 사용되기 때문에 시장의 니즈가 매우 방대한 분야이다. 우수한 동력전달장치의 사용은 완성도 높은 시스템 구축을 위해 필수적인 요소로,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산업별, 분야별 시스템에 따라 적합한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몹시 중요하다. 1983년 설립된 (주)국제산업기계(이하 국제산업기계)는 세계 시장에서 검증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NpQPk/btqCBwCmDfc/e736HulqrDwiKHhjhtw1rK/img.jpg)
Q. 올해 한국로봇산업협회(이하 협회)의 주요 목표는. A. 협회는 로봇산업 강국 도약을 선도하는 대표적인 로봇 사업자 단체로서, 올해 로봇 시장 정장과 확대 및 로봇기술의 고도화 지원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한다. 크게 회원사 지원체계 강화, 핵심사업 추진, 산업활성화 기반 구축의 3대 키워드를 전략으로 5대 주요 사업 분야를 설정했다. Q. 5대 주요 사업 분야에는 어떤 활동이 포함되나. A. 회원사 기반 활동, 인력양성 및 교육, 조사통계·표준화, 판로 개척, 산업 트렌드 대응이 올해 협회의 5대 주요 사업 분야이다. 협회는 지난 이사회에서 각 사업 분야별로 세부 계획을 논의했고, 이를 구체화하고 있는 상황이다. Q. 올해 사업 전개를 위해 어떠한 노력들을 하고 있나. A. 협회는 회원사들의 의견을 취..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01SXU/btqCtX6ZySC/SiBIcESRRwkIEJtcyacaN0/img.jpg)
분쇄·분체기계 분야의 후발국 설움을 연구개발로 극복 끊임없는 기술 혁신과 품질관리로 첨단 초미립자 분쇄 및 분체 기술력에서 국내 대표기업으로 자리매김한 한국분체기계(주)(이하 한국분체기계)가 미국, 영국, 독일, 일본 등 기술선진국에 의존하던 미립자 분쇄·분체 기술을 국산화한데 이어 ‘초미립 분쇄시스템’을 역수출하는 성과를 거뒀다. 업계에서는 이를 두고 과거 독일로부터 잠수함 기술을 전수받았던 우리나라가 독일을 비롯한 잠수함 건조 선진국을 꺾고 잠수함 수출국의 반열에 오른 것과 같은 쾌거로 평가하기도 한다. 기계 산업은 물론이고 분쇄·분체기계 분야에 있어 후발국인 우리나라의 여건상 개발을 위한 어려움이 한두 가지가 아니었다. 하지만 동사는 기술적인 한계에 굴하지 않고 한국화학연구원, 서울대학교, 한양대학..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rbwQT/btqCqOCOGLR/W95NdJ1ReyLWG6sHiqkme0/img.jpg)
슈나이더일렉트릭 시스템스 코리아, 대표 디에고 아레세스(Diego Areces)는 SK 에너지(대표 조경목)와 석유화학 공정의 안전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을 알렸씁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슈나이더일렉트릭은 한국에서 SK에너지에 안전 계측 시스템인 ▲트라이코넥스 삼중화 안전 PLC 시스템과 ▲터보 기계류(Turbomachinery) 종합 솔루션을 제공하는 단독 공급 업체로 선정됐습니다. SK에너지는 울산 석유 화학 플랜트에 슈나이더일렉트릭 공정 안전 강화 시스템을 구축해 보다 높은 안전성과 생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번 제휴에 따라 양사는 관련된 구체적인 부가가치 및 비즈니스 성과를 이루기 위한 장기적인 파트너십을 강화해 나가게 되었습니다. 슈나이더일렉트릭은 글로벌 시장 점유율 1..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naQMT/btqClx8BzEb/NwWWsvkguS86GaKmuN0xpk/img.jpg)
LS산전은 차세대 전력 솔루션 Susol Smart MCCB(수솔 스마트 배선용차단기)와 자동화 핵심 제품 iXP2(HMI; Human-Machine Interface)가 2020년 iF 디자인 어워드 ‘Product- Industry / Tools’ 부문에서 본상을 수상했다고 지날달 18일 밝혔다. 세계에서 가장 공신력 있는 디자인 공모전으로 꼽히는 iF 디자인 어워드는 독립 디자인 기관 ‘iF 인터내셔널 포럼 디자인’이 매년 우수한 디자인에 상을 주는 행사다. 독일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 미국 ‘IDEA’와 함께 ‘세계 3대 디자인상’으로 불린다. 2020 iF 디자인 어워드에는 56개국에서 7,298개 후보작이 출품돼 수상을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였다. 이번에 디자인 상을 수상한 ‘Susol S..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xpvF8/btqBJ64Z7c2/WKthki3WOpnE4kzznwAvak/img.jpg)
국내를 대표하는 산업용 센서ㆍ제어기기 전문 기업 오토닉스(대표이사 박용진, www.autonics.com)가 자(子)회사인 제어계측 기업인 코닉스와 영업 양수도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코닉스는 압력계, 지시계, 기록계 등 제어계측 기기를 공급하는 회사이며 1981년에 설립하고 약 40년의 업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국내 최초 하이브리드 기록계와 내진동형 압력계 및 온도계를 개발한 회사로도 잘 알려져 있습니다. 이번 영업 양수도 계약 체결은 FA(Factory Automation) 산업과 PA(Process Automation) 산업의 통합으로 인해 변화하는 산업 흐름에 대처하고, 성장 동력에 속도를 내기 위해 결정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오토닉스의 관계자는 이번 계약 체결을 통해 기술 개발, 생산, 영업,..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svQvg/btqAY7EOFdE/vQytJC5KZLNXEXEFXte2i1/img.jpg)
한국델켐이 교육 콘텐츠를 통해 CAD/CAM 정기교육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자체적인 교육 센터를 통해 POWERMILL, POWERSHAPE, FEATURCAM 등의 오토데스크 제조 솔루션에서부터 AIMS, HDAS, HD-ICON 등의 솔루션까지 지원하고 있다. 한국델켐의 숙련된 엔지니어들이 직접 진행하고 있어 주목을 받고 있다. CAD/CAM 교재 및 교육 동영상은 솔루션의 기본 기능을 익히고 업무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개발됐다. 현재 한국델켐의 교육센터를 포함해 국내 다양한 교육기관에서도 교육자료로 활용이 되고 있으며, 효율적인 동영상 콘텐츠와 함께 혁신적인 솔루션으로 자리잡고 있다. 뿐만 아니다. HD 캐스트에서는 제조 산업과 관련된 최신 기술자료에서부터 CAD/CAM에 관련된 교육동..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XOgmY/btqAD0rZ8De/IXZMZMtTWtKEOvHYG7IE2k/img.jpg)
LS전선은 한국전력과 1086억원의 HVDC(고압직류송전) 케이블의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23일 공시했습니다. 충남 서해안의 발전소에서 경기도 평택 사이 35km를 HVDC케이블로 연결, 수도권 공단 지역에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사업입니다. HVDC 선로 하나로 원전 3기의 발전량인 3GW의 전력을 보낼 수 있다. HVDC 케이블 중 세계 최대의 송전량으로 기존 HVAC(고압교류송전) 케이블과 비교해도 4.5배가 더 많습니다. 전기가 사용된 100여년 동안 전 세계 전력망의 대부분은 교류로 구성되어 왔으나, 최근 직류가 송전 손실이 적은 장점이 부각되며 HVDC가 장거리 송전망을 중심으로 빠르게 적용되고 있습니다. 국내 HVDC 사업은 1997년 해남-제주 사이에 유럽산 케이블이 처음 도입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