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에 기계

국·내외 지능형 로봇 분야 표준화 동양 및 시사점 본문

로봇/자동화기기

국·내외 지능형 로봇 분야 표준화 동양 및 시사점

여기에 2016. 4. 29. 17:43
현재 국내에서는 ‘지능형로봇표준포럼(KOROS)’과 ‘KS 로봇 및 로봇장치 전문위원회’ 만을 통해 지능형 로봇의 단체표준 및 산업표준의 제정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비해 국외에서는 로봇분야의 국제표준 개발은 국제표준화기구 ISO와 IEC에서 주로 이뤄지고 있으며 로봇 분야만 6개 분야가 활동 중이다. 
본지는 KEIT 로봇 PD실의 박현섭 PD와 한국로봇산업진흥원의 전진우 단장의 ‘국·내외 지능형 로봇 분야 표준화 동양 및 시사점‘의 이슈를 통해 국내 로봇 표준개발 현황과 국제 로봇 분야의 표준화 동향정보를 살펴보고자 한다.

I. 국내 지능형로봇 표준화 현황

1. 지능형로봇표준포럼이란?
2015년 지능형로봇의 표준화 연구 협력 및 단체/국가 표준 수립을 목적으로 조직되어, 9개 분과 운영을 통해 표준화 활동을 수행 중인 곳으로 국내 지능형 로봇 분야의 표준화는 이곳에서 추진되고 있다. 서비스로봇의 성능평가, 안전성,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 주행, 인간-로봇 상호작용(HRI)분야의 표준개발 또한 이곳에서 이루어진다.


지능형로봇 표준포럼(KOROS)조직도

2015년 4회의 KOROS 운영위원회 운영을 통해 KOROS 표준 9건을 제정 완료하였고, 표준화 과제 10건을 채택하여 현재 개발 중인 것으로 보인다.





II. 국제표준화 WG별 현황 및 주요이슈

1.ISO TC299 : Robots and Robotic Devices 신설
로봇 분야의 국제표준화 그룹은 기존 TC184 하위 분과로 활동하였으나 2016년 현재는  TC299로 신구기술위원회가 조직되어 산업용, 서비스용, 의료용, 모듈 등으로 분류된 6개 작업분과(WG)로 운영되고 있다.



2. ISO TC299 WG1 : 용어 및 특성
신규 TC인 TC299의 명칭과 관련하여, ‘Robotics’, ‘Robotic Technology’에 대한 새로운 정의에 대해 논의 중이며, ‘단단한 평면에서 운용되는 이동형 로봇과 관련된 용어 및 정의’에 대한 표준화가 추진 중이다. 또한 기존에 2개 이상의 구동축을 가져야 한다는 내용이 삭제되었다.

3. ISO TC299 WG2 : 개인지원로봇 안전
WG2는 2014년 ISO 13482(개인지원로봇의 안전요구사항) 표준을 개발하고, 후속작업으로 기술보고서 2종에 대한 표준화 작업을 진행 중이다.

ISO 13482 시험평가 문서 개발
- 전기안전, 소음, 환경, 충돌, 내구성, 주행안정성, 기능안전 등 ISO 13482에서 정의된 주요 안전요구사항의 시험평가방법을 제시하는 기술보고서(TR)를 개발하였다. 

ISO 13482 문서의 안내지침서 개발
- ISO 13482 문서의 해설 및 위험성평가 예제를 제시하여 표준 사용자의 활용성 증진을 목적으로 안내지침서를 개발 중이며 안내지침서는 한국에서 프로젝트를 맡고 있고 초안이 완성단계에 있다.
통상적으로 국제표준 발간 5년 후 개정작업을 진행하지만, ISO 13482에 대한 조기 개정 의견에 따라 각 회원국의 공식 의견을 수렴 중으로 급속한 진전이 예상된다.

4. ISO TC299 WG3 : 산업용 안전
WG3(한국, 미국, 일본, 덴마크, 스웨덴 등 12개국에서 활동 중)는 지난 5년 간 협동작업용 산업용 로봇의 안전요구사항(ISO/TS 15066)에 대한 표준화를 진행해왔으며 주요쟁점에 대한 각 국의 합의가 이루어져 2016년 상반기에 최종 발간될 예정이다.
기존의 산업용 로봇은 안전펜스 내부에서 작동되었으나, 인간과 매우 근접한 환경에서 사용 가능한 협동작업의 로봇 제품이 출시 이후 안전에 대한 이슈가 부각된다.
인간과의 접촉, 충돌에 의한 상해 유발은 협동로봇의 안전 이슈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되고 있고, EU 내 독일을 중심으로 충돌안전과 관련한 통증 시험 및 유사 연구들이 수행되었으며, 그 연구결과를 국제표준(협동작업용 산업용 로봇의 안전요구사항)에 상당부분 반영하고 있다. 
ISO/TS 15066은 급격히 성장하고 있는 협동로봇 시장에 영향력이 큰 표준문서이며 관련 국내기업들의 안전요구사항 이해 및 중요성 인식이 시급하다.
또한, 로봇 시스템 통합과 관련한 2건의 신규 제안 프로젝트(수동 이/적재 스테이션 안전 요구사항, 엔드 이펙터의 안전요구사항)가 통과되어 작업 초안 작성이 시작되었다.

5. ISO TC299 WG4 : 서비스 로봇
ISO 18646-1(바퀴형 로봇의 주행성능 평가방법)과 ISO 18679-2(네비게이션 성능 평가방법)등 2건의 서비스 로봇의 성능평가방법에 대한 표준개발이 진행 중이다.
현재 개발 중인 IEC/CDV 62849(이동형 가정용 로봇의 성능평가)의 일부 내용이 IEC TC59 WG16(IEC의 가정용 이동식 지능형 로봇 및 유사기기의 성능평가 작업분과)내의 ISO 18646-2의 내용과 유사하여 혼동되는 문제점이 쟁점으로 부각되었다.
IEC SMB(표준화관리이사회)는 로봇기술 자문위원회 ACART를 조직하고 ISO TC299의 대표를 한국으로 지정하면서 ISO와의 정보교환 및 중복개발 방지 등의 노력을 기울이고자 한다.

6. ISO TC299 JWG5 : 의료용 로봇 안전
TC299 JWG5는 의료기기의 표준화를 담당하는 IEC/SC 62A, IEC/SC 62D와 공동 작업분과로 운영 중이며, 현재 수술용 로봇(IEC 80601-2-77)과 재활치료용 로봇(IEC 80601-2-78)에 대한 개별 표준화 작업을 시작하였다. 수술로봇의 안전성에 관한 표준은 상당부분 진행되어 2016년 10월까지 위원회 초안 작성완료를 목표로 추진하고 있다. 재활로봇은 재활 평가, 위험성, 신체보상 및 고통감경 등에 대한 논의가 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개발 중인 상·하지 착용식 외골격 로봇이 주요 적용 범위가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7. ISO TC299 WG6 : 서비스 로봇 모듈화
TC299 GW6(중국을 중심으로 한국, 일본, 영국 등 7개국에서 활동 중)에서는 로봇 모듈화에 대한 신규표준화 과제 제안을 준비 중이며, 중국에서 주도적으로 NWIP 초안 역시 준비 중이다.



로봇 개발에 활용되는 운영체제 ROS(로봇 개발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소프트웨어 플랫폼으로 하드웨어 추상화 및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을 지원) 사용자 그룹의 적극적인 참여가 예상되었으나, 소극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한국과 일본은 소프트웨어 분야에 강점을 가지고 있어 이 분야를 주도해 나가고 있으나, 하드웨어 파트는 중국이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어 국내 해당 분야의 전문가 참여 확대가 필요한 실정이다. 

7. IEC TC59 SC59F WG5 : 청소로봇
WG5(한국, 독일, 미국, 영국 외 6개 국가에서 활동 중이며 컨비너는 한국)에는 Dyson, Miele, Philips, 삼성전자, LG, 유진로봇 등 국내외 선도 기업의 참여가 매우 활발하다. 청소로봇의 성능평가 국제표준인 IEC 62929 제정 이후, 신규 평가항목을 추가하여 IEC 62885-7로의 개정을 추진 중이며 개정안에는 장애물 극복, 코너/모서리 먼지수집, 멀티존, Fiber 픽업 등의 신규 평가항목 추가에 대한 논의가 이뤄지고 있다.


IEC 62885-7의 신규 추가 예정인 시험평가항목 
(왼쪽부터 Coner/Edge Test, Multi Zone Test)

최근 청소로봇에 대두되고 있는 이슈는 ‘환경’ 문제로 2018년 이후, EU의 기계류 지침(MD 665/2013, 666/2013)에 따라 ‘에코라벨링/에코디자인’ 규제 사항이 포함될 예정으로 국내 관련 기업의 환경규제 대응 전략이 요구되고 있다.

8. IEC TC59 WG16 : 가정용 지능형 이동로봇 및 유사기기의 성능평가방법
IEC TC69 WG16에서는 가정용 지능형 이동로봇의 성능평가방법에 대한 국제표준인 IEC 62849를 개발 중이다. 위치 정확도, 자동복귀, 배터리 효율, 장애물 회피 등의 평가항목이 제시되고 있으며, 표준제정 후 청소로봇을 포함한 일반적인 가정용 서비스로봇에 적용 예정이다.

III. 시사점 및 결론

1.ISO TC299 : Robots and Robotic Devices 신설
미국, 유럽 등 로봇 선진국은 다수의 기업들이 표준화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성능평가 및 안전, 신뢰성, 규제대응 등을 염두에 둔 제품개발을 준비하고 구축해 나가고 있다. 
국내외 로봇시장은 그 규모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 업계의 적극적인 표준화 활동을 통해 기술력을 축적하고 규제 대응, 인증제도 활성화를 통한 표준 확산 등 로봇 제품의 시장 경쟁력을 갖추어야만 할 것이다. 
특히나 다가올 글로벌 로봇산업 성장기를 대비하기 위해서는 지능형로봇 표준화를 시장 성숙 이전 단계부터 잘 준비·대처할 필요가 있다. 
지능형 로봇의 국제표준화 분야는 국내 다수의 전문가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해 국제표준 제안, 프로젝트 수임, 컨비너 활동 등을 수행 중이지만 연구소 및 대학, 공공기관 중심의 활동만이 대다수이다. 이렇듯 현재 대학, 연구자 중심에서 기업 중심으로 변화되어야 하며, 해외 사례처럼 국내 기업이 국제표준 개발 과정에 참여·반영할 수 있도록 역할을 확대해 나가야만 한다. 이를 위해 제품 기획, 연구개발 단계에서부터 국제표준 동향을 반영한 제품개발이 추진되어 글로벌 경쟁력 제고를 위해 국가적 차원에서 투자와 지원이 필요한 상황이다.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www.keit.re.kr
※ 출처 : EngNews (산업포탈 여기에) - 국·내외 지능형 로봇 분야 표준화 동양 및 시사점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