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산업뉴스/산업일반 (363)
여기에 기계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yvlUU/btqSLHmrmZ8/HkHPVW0giU0vzaBgD6IUPk/img.png)
LG디스플레이의 OLED 패널이 美 '아이세이프(Eyesafe)' 인증을 획득했다. (사진. LG) LG디스플레이가 1월 5일(화) 미국의 눈 안전 특화 인증기관 '아이세이프(Eyesafe)'로부터 OLED 패널이 눈에 안전하다는 의미의 '아이세이프' 인증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아이세이프 인증은 세계적 권위의 시험인증기관 'TUV Rheinland(티유브이 라인란드)'와 공동으로 개발한 것으로, TV 패널이 이 인증을 받은 것은 LG디스플레이의 OLED가 처음이다. 비대면 시대에 TV 시청 시간이 증가하고 청소년 온라인 수업이 확대되는 가운데, LG디스플레이의 OLED가 '19년과 '20년 글로벌 인증기관으로부터 '낮은 블루라이트'와 '플리커 프리' 인증에 이어 올해 '아이세이프' 인증을 잇따라 획득하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BWzIC/btqRL3dPUAx/HIbYwyf1dNX667p8rjc2dK/img.jpg)
창원시가 '글로컬 소재·부품 개발 지원사업'을 기반으로 중소기업 기술 경쟁력을 강화한다. (사진. 창원시) 창원시가 지난 12월 24일(목) 중소기업 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해 올해 신규사업으로 추진한 ‘글로컬 소재‧부품 개발 지원사업’ 결산 결과 참여기업들의 성장지표가 개선되는 등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글로컬 소재‧부품 개발 지원사업’은 작년 7월 일본의 화이트리스트 배제에 따른 대응의 일환으로 소재‧부품 국산화와 수출 유망제품 개발을 돕는 창원시 자체 사업이다. 중소기업 기술자립과 신제품 개발을 지원하는 것이 핵심으로 창원산업진흥원이 주관해 참여기업 수요조사 결과 39개 기업이 신청했으며 사업계획이 우수한 삼신기계(주) 등 6개 기업이 최종 선정돼 과제를 진행했다. 이들 기업은 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f0B9J/btqRCVgAqws/k1VkqauQXQtLY3AzjNgye0/img.png)
LG CNS와 삼정KPMG가 스마트팩토리 보안시장을 공략한다. (사진. LG) LG CNS와 삼정KPMG는 지난 12월 21(월) 서울 강남구 소재 삼정KPMG 본사에서 '스마트팩토리 보안 사업 강화 및 협업'을 위한 업무협약식을 맺었다. 이 자리에는 LG CNS 현신균 부사장, 배민 상무와 삼정KPMG 정대길 대표, 박상원 부대표, 김민수 파트너 등이 참석했다. 이번 업무협약으로 양사는 ▲신규고객사 발굴 ▲전문 인력 육성 ▲컨퍼런스 개최 등 스마트팩토리 보안에 특화된 사업을 공동으로 추진한다. 최근 스마트팩토리 보안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업계는 기업 보안을 크게 IT(Information Technology)와 OT(Operational Technology)로 구분한다. IT보안은 사무환경을, O..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RAgCD/btqRCVUBP2T/LOoqosaJMnmeW3cg8E8s01/img.png)
국내 의료 소프트웨어 기업이 글로벌 헬스케어 그룹인 지멘스헬스케어(Siemens Healthcare GmbH, 이하 지멘스)와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 스마트케어웍스(주)(대표 천정범)은 최근 지멘스의 에코 플랫폼에 ‘고스티칭(GoStitching)’ 솔루션을 탑재해 서비스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회사에 따르면 지멘스 에코 플랫폼은 지멘스 장비를 사용하는 병원이 클라우드 시스템에서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손쉽게 구독형으로 구매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웹 기반 서비스다. 파트너사로 해당 플랫폼에서 서비스하기 위해서는 지멘스 장비와의 호환성 및 성능 테스트는 물론 영상을 정확하고 빠르게 처리하는 최적화 과정도 통과해야 한다. 스마트케어웍스는 이런 과정을 통과하기 위해 수차례 품질 개선을 진행했..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6fUcp/btqQ57B3GYR/kTFrM2xq93pHBXRrzs13TK/img.png)
LG CNS와 삼정KPMG가 스마트팩토리 보안시장을 공략한다. (사진. LG) LG CNS와 삼정KPMG는 지난 12월 21(월) 서울 강남구 소재 삼정KPMG 본사에서 '스마트팩토리 보안 사업 강화 및 협업'을 위한 업무협약식을 맺었다. 이 자리에는 LG CNS 현신균 부사장, 배민 상무와 삼정KPMG 정대길 대표, 박상원 부대표, 김민수 파트너 등이 참석했다. 이번 업무협약으로 양사는 ▲신규고객사 발굴 ▲전문 인력 육성 ▲컨퍼런스 개최 등 스마트팩토리 보안에 특화된 사업을 공동으로 추진한다. 최근 스마트팩토리 보안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업계는 기업 보안을 크게 IT(Information Technology)와 OT(Operational Technology)로 구분한다. IT보안은 사무환경을, O..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tlL8y/btqQXAqUStv/6nK0CKDx913lKmHYMWQ49K/img.jpg)
(사진. 국토교통부) 국토교통부가 2020년 종료 예정인 ‘전기·수소차’ 및 ‘화물차 심야’ 통행료 할인 기간을 2년 연장하고, 상습 과적·적재불량 차량의 심야 할인을 한시적으로 제외하기 위한 ‘유료도로법 시행령’ 개정안이 12월 22일 국무회의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전기·수소차 감면제도는 한시적으로 도입돼 2020년 말에 종료 예정이었으나, 전기·수소차 보급 확대 및 미세먼지 저감 등을 위해 2022년 12월까지 2년 연장하기로 했다. 화물차 심야 감면제도는 화물 교통량 분산 및 물류비용 절감 등을 위해 도입돼 2020년 종료 예정이었으나, 물류 경쟁력 확보 등을 위해 2022년 12월까지 2년간 연장하기로 했다. 그간 과적 또는 적재불량 화물차량은 낙하물 사고, 도로 파손 등을 유발해 도로교통 안전을..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vN3yu/btqKMPlK7k6/isnoVwYCRki7sqqh5kC9CK/img.jpg)
(사진. 한국전력공사) 한국전력공사(이하 한전)가 지난 10월 8일(목) 13개 전기차 충전사업자와 ‘전기차 충전 로밍 Allience 확대 협력 MOU’를 체결하고, 충전 사업자를 대상으로 로밍을 중개하는‘ChargeLink 서비스’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ChargeLink 서비스는 한전이 개발한 로밍 플랫폼(ChargeLink)으로 모든 전기차 충전사업자와 이용자를 연결해 주는 서비스이다. 한전은 충전사업자 간 쉽게 로밍을 할 수 있도록 개방형 로밍 플랫폼(충전사업자 간 개별 로밍 시스템 구축 없이 한전 로밍플랫폼과 연결하는 것만으로 국내 대부분의 충전사업자와 로밍을 구현)을 국내 최초로 개발했으며, One Stop 요금정산 솔루션(충전사업자 간에 로밍으로 충전한 요금을 상호 정산할 수 있도록 세금계..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30ygI/btqKteN677I/gggA52PrNruPKj2LHk5Vv1/img.jpg)
SKT가 중증장애인 근로자를 위한 모빌리티 서비스를 선보인다. (사진. SKT) SK텔레콤이 열악한 출퇴근 환경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증장애인 근로자를 지원하기 위한 모빌리티 서비스를 선보인다. SKT는 한국장애인고용공단·성남시·모두의셔틀과 '중증장애인 이동권 및 고용복지 증진을 위한 공동협력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0월 6일(화) 밝혔다. 참여 기업·기관들은 장애인들에게 안전하고 편리한 이동권을 보장해 사회활동 참여 기회를 확대하고 장애인 일자리 생태계 관련 선순환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 힘을 모으기로 했다. 중증장애인 대다수는 장애 특성상 누군가의 도움 없이 대중교통 이용이 어렵다. 차선책으로 일반 택시보다는 경제적 부담이 적은 장애인 콜택시를 이용하지만 차량 수가 부족해 이동권을 보장하기에는 ..